본문 바로가기

생활정보

사망사고 부르는 장마철 감전주의

사망사고 부르는 장마철 감전주의


장마철 덥고 습한 날씨덕분에 사건사고가 많이 일어나는데요. 그 중에  장마철 감전사고 많이 발생한닥고 합니다. 6일 안전처 통계에 따르면 지난 5년(2011~2015년)간 총 2870건의 감전사고가 발생해 연평균 37명이 사망했다고 합니다.  

저의 지인 중에도 감전사고로 사망한 분이 두 분이나 계셔서 더욱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. 



사고는 순식간에 나며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이라 예방밖에는 방법이 없는 듯 합니다. 그래서 오늘은 감전사고 예방법과 감전사고시 응급 요령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^^


<집안에서 감전 사고 예방하기>

1. 젖은 손으로 전기기구를 만지면 안되고 물에 젖은 전기구도 만지지 마세요.

2. 세탁기, 펌프 등 금속 부분은 땅속으로 연결하세요.

3. 플러그를 뽑을 때는 전선을 잡아 당기지 마세요.

4. 집안에 콘서트에 안전커버 씌우세요. 아기들이 있는 집이라면 더더욱 그렇게 해야겠죠~

5. 장마로 집안이 침수되었거나 창문을 열어둔 상태로 외출해서 비가 들이쳤다면 전기 콘센트나 전기기기 등을 통하여 전기가 흐르고 있는지 모르므로 접근하기 전에 배전반의 전원스위치를 내린 다음 출입하며 전기기를 확인하세요~~


<집 밖에서의 감전사고 예방하기>

1.비가 오는 날에는 전봇대나 파이프 그리고 간판 등은 만지지 마시고 근처에도 가지 마세요. 

2. 낙뢰나 벼락이 칠 때는 감전사고 위험이 높아지므로 가급적 등산이나 골프등의 야외 활동을 자제하세요. 또한 나무나 전기선 같은 물체와 같이 있지 마세요. 


<감전사고 시 응급조치 요령>

1. 감전된 사고자 주변의 전선 또는 전원 스위치를 차단함으로써 2차 재해를 예방하세요. 

2.차단할 수 없을 때는 고무장갑, 고무 장화 등을 착용한 후 막대기, 플라스틱 봉이나 줄을 이용해서 기기 또는 전선으로 부터 사고자를 분리하세요.

3. 사고자를 구출한 후  피해자의 의식이 호흡, 맥박상태 등을 체크하고 119에 신고 하세요.



이상으로 감전사고 예방법과 사고시 응급 요령에 대해 알아봤는데요. 안전은 지나치게 강조해도 부족합니다. 이렇게 몇가지의 예방법만 행동으로 옮겨도 돌이킬 수 없는 사고로 부터 자유로울 거에요~~